티스토리 뷰
이 페이지에서는 헷갈리는 용어 두가지인 이탈률과 종료율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있다.
# 이탈률(Bounce Rate)
해당 페이지로 홈페이지를 처음 방문해 해당 페이지만 보고 나가는 비율. 다시 말해,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지 않고 접속한 페이지 하나만 보고 나가버리는 비율.
→ 이탈률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은 사용자가 홈페지이를 더 볼 것이 없다고 판단했다는 것을 의미하여,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없는지 점검해야 한다.
# 종료율(Exit Rate)
해당 페이지에서 홈페이지를 종료한 비율.
→ 어떤 페이지에서 종료율이 높게 나타난다면 해당 페이지에 문제가 없는지 점검해야한다.
# 이탈률 vs 종료율
처음 방문한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지 않고 종료했다면 이탈률에 포함.
다른 페이지로 이동했다가 다시 처음 방문한 페이지로 돌아와 종료했다면 종료율에 포함.
# Example 1
session1. A > B > C > Exit
session2. B > A > C > Exit
session3. A > Exit
session4. C > B > Exit
- 이탈률
A의 이탈률 : 50% (1/2)
→ A로 시작하는 세션 2개 中 A에서 종료된 세션 1개
B의 이탈률: 0%
→ B에서 시작하고 B에서 끝난 세션이 존재하지 않는다
C의 이탈률: 0%
→ C에서 시작하고 C에서 끝난 세션이 존재하지 않는다
- 종료율
A의 종료율: 약 33% (1/3)
→ A가 포함된 세션 3개 中 A에서 종료된 세션 1개
B의 종료율: 약 33% (1/3)
→ B가 포함된 세션 3개 中 B에서 종료된 세션 1개
C의 종료율: 약 66% (2/3)
→ C가 포함된 세션 3개 中 C에서 종료된 세션 2개
# Example 2
session1. B > A > C > Exit
session2. B > Exit
session3. A > C > B > Exit
session4. C > Exit
session5. B > C > A > Exit
- 이탈률
A의 이탈률 : 0%
→ A에서 시작하고 A에서 끝난 세션이 존재하지 않는다
B의 이탈률: 약 33% (1/3)
→ B로 시작하는 세션 3개 中 B에서 종료된 세션 1개
C의 이탈률: 100%
→ C로 시작하는 세션 1개 中 C에서 종료된 세션 1개
- 종료율
A의 종료율: 약 33% (1/3)
→ A가 포함된 세션 3개 中 A에서 종료된 세션 1개
B의 종료율: 50% (2/4)
→ B가 포함된 세션 4개 中 B에서 종료된 세션 2개
C의 종료율: 50% (2/4)
→ C가 포함된 세션 4개 中 C에서 종료된 세션 2개
'Book > Google Analyt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A] 구글 애널리틱스(Google Analytics)란? (0) | 2019.02.05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