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# 분석의 시작
블로그를 시작하면서 여러 통계 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되었다. 그러려면 어떻게든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통계 페이지가 있어야 하는데 어떻게 마련해야 하나 막막하기만 하다.
바로 이럴때 누구나 쉽게 홈페이지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확인할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인 구글 애널리틱스(Google Analytics)이다.
https://www.google.com/analytics/web/?hl=ko&pli=1
# 웹로그
사용자가 어떻게 웹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수집하는 데이터로, 어떤 사용자가 어느 페이지에 언제 접속했는지 얼마나 오래 머물렀는지 등의 데이터를 말한다.
그렇다면 웹 로그는 왜 수집하는 걸까?
그 답은 웹 로그를 분석해 더 나은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다. 웹로그를 수집하고 분석하면 웹 서비스를 운영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.
# 웹로그 분석 과정
1) 웹 로그 분석의 목적을 정한다
2) 목적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수집한다
3)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한다
4)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행동한다
5) 다시 목적, 수집, 분석, 행동을 반복한다
# 구글 애널리틱스의 정의와 역할
구글 애널리틱스는 앞서 설명한 웹 로그 분석을 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이다.
프로그래밍 코드를 작성하고, 수집한 주소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뒤 데이터베이스에서 SQL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.
1) 자동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한다 - 데이터 수집 계획 없이, 데이터 수집 프로그래밍 코드없이도 데이터 분석에 자주 사용되는 기본적인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
2) 데이터 확인을 위한 보고서와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
# 구글 애널리틱스, 누가 사용할까
1) 마케터
마케터는 구글 애널리틱스의 각종 요소를 이용해 어떤 상품을, 어떤 대상에게, 어디에 마케팅을 진행할 것인지 확인하여 마케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.
2) 기획자
기획자는 사용자가 실제로 홈페이지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확인하여, 자신이 담당하는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.
3) 디자이너
디자이너는 기본적으로 기획자와 같은 목표로 구글 애널리틱스를 사용한다.
어떤 부분이 사용성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여 자신의 디자인이 실제 사용자 행동을 불러일으키는지, 비즈니스 목표에 부합하는지 알 수 있다.
4) CEO
CEO는 DAU, MAU같은 사용자 지표를 확인할 수 있다. 원하는 데이터를 원하는 시점에 확인해 의사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다른 어느 직군보다도 구글 애널리틱스를 잘 다루어야 한다.
'Book > Google Analyt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A] 이탈률(Bounce Rate) vs 종료율(Exit Rate) (0) | 2019.02.08 |
---|